티스토리 뷰
* 포멧전 해야 할일
- 하드디스크 파티션이 두개 이상일 때 C:드라이브에 저장된 중요파일들을 D:드라이브에 백업
1.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백업한다.
메인보드칩셋, 사운드카드, ADSL모뎀, VGA카드, 프린터, 캠, mp3 드라이버등
2. 지워서는 안될 중요한 사진 및 문서 파일 그리고 디렉토리를 백업한다.
공인인증서파일, 내문서, 즐겨찾기 목록, 한글WORK디렉토리, 오피스파일, 다운로드파일, 퀵서치등등
3. 다시 설정하기 귀찮은 아뒤, 비번, 환경설정 정보가 포함된 파일을 백업한다.
FTP(아뒤,비번), 하얀 메일( hayan.ini), 도넛( serach.ini), IETOY(data폴더)등등
세부 설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유틸의 설치 디렉토리 전체를 백업한다. 단, 환경 설정정보 파일은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4. 백업이 안된 프로그램 혹은 새로 설치없이 디렉토리전체 복사만으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백업한다.
5. 메인보드 인텔 칩 패치할 업그레이드 파일을 다운 받아 백업한다.(인텔칩메인보드경우만해당)
6. 꼭 필요한 응용프로그램를 미리 준비해 놓는다.
한글, 오피스, 바이러스백신(v3), 포토샵, 압축유틸(winrar,알집), 윈엠프, Acdsee, 곰플레이어, 하이퍼스넵, 아크로벳,ws-ftp, nero, 데몬 등등
* 포멧후 꼭 해야 할 일
- format c:/q 빠른 포멧 명령으로 포멧 하면 몇 초안에 포멧됨을 알아 둔다.
- 보통 포멧과 용량변화, 에러율 관계없다. 하지만 시간이 충분하다면 보통포멧을 권장한다.
- 공장도 출고 하드상태로 만들고 싶다면 로우포멧을 한다.(주의, 파티션이 모두 삭제된다)
1. 윈도우를 설치한다. {윈도우2k/xp시디는 파티션 변경과 하드포멧(보통속도) 기능이 설치 도중 유무를 묻는다.}
2. 미리 다운받아놓은 메인보드 인텔칩이나 VIA칩 유틸리티를 업그레이드 패치한다.
- 인텔칩메인보드인 경우 최신인텔칩유틸리티를 다운받거나 동봉된 시디의 파일을 설치한다.
- 보통 pci controller 장치를 설치하지 못할 경우 패치하면 잡힌다.
3.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설치한다.(사운드,VGA,프린터 등등, 초고속인터넷드라이버 필수)
<주의할점> 인터넷 연결전에 반드시 아래항목을 수행한다.
㉠ 윈도우 로그온 암호를 설정해서 로그온했는 지 확인한다. 재차 확인해본다. - 이유: 비번없이 로그인하면 윈2000의 보안취약성을 이용한 네트웍 공격을 받을 수 있다. 그로 인한 시스템속도저하와 악성코드와 유사한 프로그램이 설치 될수 있다.
㉡ 위의 과정을 거친 후 자신의 하드디스크 공유를 모두 해제한다. 각각의 하드디스크 마우스오른쪽키를 누른 후 '공유'메뉴를 클릭한다.
㉢ 시작-실행-regedit 실행한다.
㉣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lanmanserver\parameters 폴더안에
마우스커서를 대고 오른쪽키를 누른 후 '새로만들기' : AutoShareServer (서버일 경우), AutoShareWks (프로일 경우) 이름을 넣고 키값을: -'DWORD값' 으로 준다. 안의 값은 디폴트 그대로 나둔다.
㉤ 리부팅을 하면 영구적으로 자신의 하드디스크가 다른 침입자에게 공유되지 않는 다.
4. 인터넷 연결 접속 전에 반드시 백신프로그램을 설치 한다.
- 항상 최신 백신 설치로 새로 생겨나는 바이러스를 미연에 방지하자.(가장 기본 사항)
5. 4번을 수행한 후 바로 윈도우 업데이트 한다. (시작메뉴- windows update아이콘클릭)
- 중요업데이트목록을 반드시 모두 다 설치해야 한다. (치명적인 바이러스패치파일이 포함되어있다.)
- 시간이 넉넉하면, 윈도우 서팩 및 다이렉트9.x 그리고 익스플로어 6.x 기타 패치파일 등등 다운받아 ms에서 배포한 가장 최신 상태로 윈도우즈를 업데이트 한다.
- 주의, 부분윈도우패치 후 리부팅 메세지가 뜨면 반드시 리부팅 후 다른 패치를 설치해야 됩니다. 메세지를 무시하고 한꺼번에 패치 후에 사용하면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1. 최초 깨끗한 상태를 보존 하고 싶다면 이 시점에서 "시스템 백업"을 해 놓는다. (복원시 이시점으로 되돌아 간다)
- 노턴 ghost.exe 도스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도스상태에서 윈도우의 모든 데이터를 이미지화 백업해 두는 방법도 적극 추천한다. (압축률 최대 50%)